저번에는 1,23 과목중에서 몇가지 짚어봤습니다. 이번에는 그 이후 과목들에서도 중요하거나 헷갈리거나 하는 부분들을 긁어보려합니다. 시원하게 긁어서 머리속에 꽉꽉 채워보도록 하죠.
안녕하세요. 열공중인 코인러입니다.
오늘도 책보면서 보고 또보고 또봐도 헷갈리는 문제들이 나오면 하나씩 정리해보려 합니다.
달려보시죠!!
1.거푸집 헷갈립니다 보시죠.
ㄱ. 슬라이딩폼 : 딱봐도 미끄러진다 슬라이딩...!!
- 수직활동 거푸집(끌어올리면서 연속 작업) , 굴뚝,사일로 등
- 공기 단축, 콘크리트 일체성 확보 용이
ㄴ. 슬립폼 : 수직과 수평의 반복된 구조물에 이용
- 시공이음 없이 균일 형상 시공위해 연속적 이동시키며 작업
ㄷ. 트래블링폼 : 연속 아치에 사용하는 수평이동 거푸집
ㄹ. 와플폼 : 기성제 거푸집(무량판,평판 구조 사용)
ㅁ. 갱폼 : 공장제작 (현장에 그대로 안착형 : 일체형 !!)
-두꺼운 벽체용, 양중장피 필요
ㅂ. 유로폼 : 벽판이나 바닥판용 거푸집, 현장에서 못 사용 없이 간단 조립가능
ㅅ. 터널폼 : 벽과 바닥 동시 타설, 벽체용 거푸집과 슬랩 거푸집 일체 제작하여 설치/해체
ㅇ. 클라이밍폼 : 크라이밍(오르다) 포인트, 벽체용 거푸집, 비계틀 일체로 제작
ㅈ. 플라잉폼 : 바닥전용, 테이블폼
ㅊ. 메탈폼 : 강재 금속재, 제물치장 콘크리드 구조에 사용
쓰고나서 보니 많이 기네요. 나름 줄여본거니...외워봅시다 ^^
2. 계산문제인데 아주 쉽다 함수율!!!
목재의 건조전(Wn)과 건조 후 전건 중량(Wo)만 안다면 ㅇㅋ!!
너무 쉬워서 꼭 외워놔야 할 공식 중 하나입니다. !!
3. 비계들의 헷갈리는 숫자들!!
ㄱ. 수직재와 받침철물의 연결부 겹침길이는 받침철물 전체 길의의 1/3
ㄴ. 달비계 : 작업발판 40cm 이상
적재하중 : 달기 와이어로프, 달기 강선 : 10 이상
달기 체인 및 달기 훅 : 5 이상
달기 강대와 달비계의 하부 및 상부 지점 [ 강재 - 2.5 / 목재 - 5 ]
[강관 비계] : 띠장 1.85m, 장선 1.5m / 띠장 간격 2m / 비계 윗기둥으로 31m 아래 2개 강관으로 묶어세움 / 적재하중 400kg
ㄷ. 단관비계 : 수직 5m , 수평 5m
ㄹ. 틀비계 : 수직 6m , 수평 8m
ㅁ. 말비계 : 기울기 75 , 높이 2m 초과시 작업발판 폭 40cm 이상
ㅂ. 이동식 비계 : 최대적재하중 250kg
*기타
1) 설계변경 요청 대상 - 높이 31m 이상 비계
2) 비계 재료의 연결/해체 작업시 발판의 폭 - 20cm
4. 헷갈리는 중장비
ㄱ. 양중기 : 크레인, 이동식 크레인, 리프트, 곤돌라, 승강기
ㄴ. 모터 그레이터 : 토공기계의 대패 , 지면 평활과 다듬는 것이 목적
ㄷ. 파워셔블 : 기계보다 높은 곳 굴착
ㄹ. 백호(드래그셔블) : 기계보다 낮은 곳 굴착, 경암반 / 수중굴착 가능
ㅁ. 드래그라인 : 연약지반 / 수중굴착, 작업범위 넓음, 기계보다 낮은 곳 굴착
ㅂ. 크램셸 : 기초기반 굴착, 사질기반에 이용
음 생각보다 길어졌네요.
4가지 정도 남겨보는데요. 그래도 짧게 한다고해도 길어질 수밖에 없었네요.
다들 이정도만 이해를 하고가도 정말 큰 도움이 되리라 봅니다.
5개년 문제집 통해서 제가 나름 빈도수 높으면서 나올만한 부분들 짚어 가고 있습니다.
이제 한달이 채 남지 않았습니다.
여러분들의 고생이 정말로 좋은 결실로 남기를 기원해 봅니다.
또 책보고 공부하다 이거다 싶은 부분들이 생긴다면 남겨보도록 하겠습니다.
금요일이네요.좋은 결과를 내야 불금일텐데...주말도 없어야 하는 이 시간들이 참 힘이듭니다.
다들 주말 잘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구독과 좋아요는 좋아요!광고클릭은 더 좋아요! ㅎㅎ
'건설안전기사 자격증을 준비하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안전기사 요점정리 품질관리(TQC) 활동 7가지 도구 (16) | 2022.09.01 |
---|---|
건설안전기사 합격을 위한 요점 정리 제3탄 [ 외워야 산다 ] (12) | 2022.08.27 |
건설안전기사 합격을 위한 요점 정리 제 1탄 ( 꼭 외워야 할 것들) (12) | 2022.08.25 |
건설안전기사 준비는 잘 되고 있나요? 모두 다같이 힘내봐요!! (6) | 2022.08.18 |
건설안전기사 FTA(결함수법)의 컷셋과 패스셋 너무 헷갈리다!! (4) | 2022.08.14 |
댓글